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트럼프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 검토, 한국 대미 투자 기업에 위기 신호
    부동산 이야기 2024. 11. 15. 10: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팀이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전기차 구매 보조금(최대 7,500달러) 혜택의 폐지를 논의 중입니다. 이 정책이 중단되면 미국의 전기차 시장 전환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한국의 완성차 및 배터리 기업들이 상당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트럼프 인수팀은 보조금 폐지를 포함한 대규모 세제 개혁을 통해 공화당 내 지지를 얻으려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인수팀 에너지정책 담당자들은 이미 여러 차례 회의를 통해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상의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가능성을 논의해 왔습니다. 이번 정책 변화가 현실화되면,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를 포함한 많은 한국 기업이 미국 시장에서 비용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완성차 기업과 배터리 기업들은 이미 전기차 생산 및 보급 촉진을 위해 미국 현지에 조 단위의 투자를 진행해 왔으나, 보조금이 사라지면 이들 기업의 수익성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정책 수정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역시 전기차 보조금 폐지에 찬성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테슬라는 보조금 없이도 충분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오히려 경쟁사들은 보조금이 사라지면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테슬라 입장에서는 전기차 보조금 폐지가 오히려 유리한 상황입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 등 외국 전기차 기업들이 리스 옵션 등으로 세제 혜택을 받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바 있습니다.

    머스크는 테슬라가 바이든 행정부 보조금 혜택을 받아왔음에도, 이를 폐지해도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선두 기업의 자신감일까요.

     

     

    트럼프는 선거 기간 동안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여러 차례 비판하며 폐지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그는 전기차가 비싸고 주행거리가 짧으며, 생산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역시 중국이라는 나라가 화두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더불어 친환경 정책을 두고 “그린 뉴딜 사기”라고 칭하며 ✔️ 풍력발전 중단 ✔️ 석유 가스 시추 규제 완화 ✔️ 파리기후협약 탈퇴  등 바이든 정부의 환경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 정책 변화가 현실화된다면, 미국 현지에 전기차 생산 기반을 마련해 온 한국 기업들에 커다란 혼선이 예상됩니다.

    트럼프 인수팀은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하여, 재정 절감과 함께 세제 개혁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가 향후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과 그들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주목됩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 정부의 정책이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